가상자산 투자자 1000만 시대 도래… 이용자는 늘었지만 시장 규모는 감소

[email protected]



우리나라의 가상자산 거래 이용자 수가 1000만명을 넘어서며 역사적인 이정표에 도달했다.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가상자산 이용자는 1076만8900명에 이르며, 이는 작년 말 대비 107만명(11%) 증가한 수치다. 특히, 30대 이용자가 300만명(27.9%)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40대가 292만명(27.1%), 20대 이하가 204만명(18.9%)을 차지하는 등 연령별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가상자산 종목 수 또한 눈에 띄게 늘어나 1500개를 넘어섰으며, 이 가운데 1억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는 약 18만명(1.7%)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사용자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시장 규모는 오히려 감소세를 보였다. 국내 가상자산의 총 시가총액은 작년 말 대비 14% 줄어든 95조1000억원으로 집계되었으며, 거래 규모 또한 반년 새 14%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이러한 사실에 대해 글로벌 관세 갈등, 지정학적 긴장 고조 등의 요인이 시장 상승을 둔화시키고 변동성을 증가시켰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상자산의 수는 13% 증가해 1538개에 달하였다. 이는 가상자산 시장의 다양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안정적인 투자처를 찾는 많은 투자자들이 새로운 코인에 관심을 가지게 만드는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거래업체의 매출은 1조1487억원으로 6% 감소한 반면, 영업손익은 1261억원으로 17% 줄어들어 어려운 시장 환경을 반영하고 있다. 가상자산 매매의 평균 수수료율은 0.17%로 작년 말 대비 0.4%포인트 증가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거래소의 서비스에 늘어나는 비용을 느끼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주요 가상자산사업자 CEO와의 간담회에서 “가상자산 거래소의 시장 감시 기능을 강화해달라”고 당부하며, 시장의 근본적인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가상자산 시장이 직면한 도전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가상자산 시장은 더 많은 규제와 감시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 보호와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여겨진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