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장 중 스테이블코인 자금 알트코인으로 이동…리플($XRP), 솔라나($SOL) 및 DEX 토큰 급상승

[email protected]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강세장이 심화됨에 따라, 투자자들이 스테이블코인에서 리플(XRP), 솔라나(SOL), 디파이(DeFi) 및 탈중앙화 거래소(DEX) 토큰 등 주요 알트코인으로 자금을 대거 이동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바이비트가 발표한 2025년 3분기 자산 배분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4월 스테이블코인의 보유 비중은 42.7%에 달했으나, 6월에는 35.42%로 감소했고, 8월에는 25%까지 하락했다. 이는 무려 17.7%포인트 감소한 수치로, 대다수의 자금이 알트코인으로 재배치된 것을 나타낸다.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으로 유입된 자금은 전체의 단 4%에 불과하다는 점에서도 그 흐름이 뚜렷하다.

특히 기관 투자자들이 개인 투자자들에 비해 더욱 공격적으로 자산 재배치를 단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관들은 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전략을 적용하여 스테이블코인 보유 비율을 17.2%로 줄였다고 한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보유 비율을 55.7%로 유지하며 두 집단 간의 온도 차가 명확히 드러났다.

8월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여전히 전체 자산 보유의 가장 큰 비중인 3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올해 1월의 28.4%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한 결과다. 하지만 지난 5월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약 31%를 유지하며 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더리움은 5월 8.4%에서 8월에는 10.1%로 보유 비중이 증가하여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바이비트는 이러한 증가가 대형 코인 간의 자산 이동이 아닌, 지갑 내의 스테이블코인 자산이 이더리움으로 전환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한편, 탈중앙화 거래소(DEX) 토큰은 알트코인 중 가장 큰 수혜를 받은 자산군으로, 보유 비중이 6월 0.4%에서 8월 1.8%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투자자들의 공격적인 유입이 이 현상을 주도했으며, 기관만 따로 보면 보유 비중은 같은 기간 7배 가까이 상승했다. 레이어2 토큰 또한 6월 0.8%에서 2.1%로 거의 3배 가까운 성장을 보였다. 반면, 실물자산(RWA) 관련 코인도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이 발생했지만, 밈코인과 금 연동 토큰은 전분기 대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결과는 강세장에 대한 신뢰 속에서 투자자들, 특히 기관들이 비트코인을 비롯한 특정 자산 외에 높은 수익 가능성을 가진 다른 자산으로 분산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알트코인 시장의 상승세가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