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채굴자가 373,000달러를 벌어들인 기적… 비트코인 블록 독점 채굴 성공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네트워크에서 희귀한 사건이 발생했다. 한 개인 채굴자가 총 373,000달러(약 5억 1,887만 원)의 보상을 받으며 블록 907,283을 단독으로 채굴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러한 사건은 장비의 성능, 신의 가호, 그리고 적절한 시기의 조합이 이루어진 결과로 분석된다.

해시레이트 1PH/s 수준의 이 개인 채굴자는 비트코인 블록을 독자적으로 채굴해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를 ‘벼락 맞을 확률보다 낮은 사건’으로 간주할 정도로 그 확률이 희박하다. 통계적으로는 동일한 해시 파워로 하루 안에 블록을 채굴할 수 있는 확률이 약 426만분의 1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교를 하자면, 미국에서 번개에 맞을 확률은 평균 15,300분의 1이며, 이처럼 단독으로 비트코인 블록을 채굴한 것은 사실상 기적에 가까운 것이다.

비트코인 생태계를 보면, 하루에 약 900개의 새로운 코인이 생성되지만, 개별 채굴자는 전체 해시 파워의 극히 일부만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전체 네트워크 해시레이트가 약 600EH/s 수준이므로, 개인 채굴자가 독자적으로 하나의 블록을 얻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400만 일 이상을 채굴해야 한다는 것이 통계적 계산으로 나타난다.

초기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는 채굴 풀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개인의 ‘솔로 마이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채굴 난이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채굴자들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채굴 풀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변모해왔다. 현재 생성되는 블록의 99% 이상은 여러 채굴자들이 연합한 풀을 통해 채굴되고 있다. 이로 인해 독자적인 블록 생성은 점차 역사 속으로 사라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사례는 단순한 성공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비트코인 생태계 내에서 여전히 이런 예외적인 성공이 가능하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으며, 네트워크의 확률 기반 설계가 실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이례적인 소식은 채굴이라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유지 활동에 대한 관심을 다시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올해 초 2월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듯이, 단독 채굴자가 블록 하나를 통째로 획득한 사례는 올해 들어 두 번째로 확인되었다. 이런 사건들은 비록 희박한 시나리오이지만, 반드시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메시지를 업계에 전달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