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관세 계산 공식이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들은 트럼프의 공식이 잘못된 가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여러 국가에 대해 부풀려진 관세 세율을 도출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무역대표부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포괄적인 ‘상대적’ 관세 계획의 근간이 되는 공식은 미국과의 무역 적자를 해당 국가의 수출로 나눈 후 이를 다시 반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거의 모든 국가에 10%의 기준 관세를 부과했다.
그러나 미국 기업연구소의 케빈 코린스와 스탠 뷰거 선임 연구원에 따르면, 트럼프의 관세 계산 공식은 실제보다 낮은 탄력성 비율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 공식은 수입 가격에 대한 관세의 탄력성을 약 0.25로 가정하고 있지만, 이들은 이 비율이 1.0(정확히는 0.945)에 가까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그들의 실수는 소매 가격에 대한 관세의 반응을 바탕으로 탄력성을 설정했으며, 실제로는 수입 가격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는 10%에서 50%에 이르며, 만약 탄력성에 대한 가정을 조정할 경우 어떠한 국가의 관세도 14%를 초과하지 않고, 대부분은 정확히 10%로 유지될 것이라고 경제학자들은 주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트럼프가 이번 주에 발표한 계획에 따르면, 가장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은 나라인 레소토의 경우, 관세율이 50%였지만 조정할 경우 13.2%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카토 연구소의 최근 보고서 역시 트럼프가 관세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한 공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트럼프가 사용한 거래 가중 평균 관세율이 실제보다 높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카토 연구소에 따르면, 2023년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거래 가중 평균 관세율은 3%였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67%로 주장했다.
이러한 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에 대한 신뢰를 더욱 흔들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이런 잘못된 세율이 시장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관세 정책은 경제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데이터와 분석이 필수적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