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자들, 트럼프의 관세 공식에 이견 제기 – 관세율의 과대평가 주장

[email protected]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발표를 둘러싼 공식이 경제학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해당 공식이 값이 낮게 추정된 핵심 지표에 의존해 과대평가된 관세율을 나타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계획의 근본적인 공식은 미국과의 무역 적자를 수출로 나눈 후, 다시 그 값을 두로 나누는 방식이다. 또한, 트럼프는 거의 모든 국가에 10%의 기준 관세를 시행했다. 그러나 트럼프가 설정한 관세율 계산 공식은 경제학자들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실제보다 낮은 탄력성 비율에 근거하고 있다.

미국 기업 연구소의 선임 동료인 케빈 코린스와 스탠 브이거는, 이 공식이 관세에 대한 수입 가격의 반응을 기준으로 하는 반면, 실제로는 소매 가격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이들은 관세와 관련된 수입 가격의 탄력성을 0.25로 추정했지만, 사실상 이 값은 1.0(정확히는 0.945)에 가까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가 부과한 관세는 국가에 따라 10%에서 50%까지 다양하다. 이 공식의 탄력성 가정을 조정하면 어떤 국가도 14% 이상의 관세를 부과받지 않을 것이며, 대부분은 트럼프 행정부가 설정한 10%의 기준 관세에 해당한다고 경제학자들은 언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번 주 트럼프가 발표한 계획에 따르면, 레소토의 관세율은 50%로 가장 높은 편이다. 그러나 탄력성을 조정하게 되면 이 수치는 13.2%로 줄어든다.

또한, 이 주에 발표된 카토 연구소의 보고서에서도 트럼프가 사용한 공식에 결함이 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한 무역 가중 평균 관세율은 실제보다 높은 수치라고 주장했다. 카토 연구소는 2023년 중국의 무역 가중 평균 관세율이 3%였지만,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이를 67%로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문제들은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대한 논의를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의 제출한 공식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의 무역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