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계산 공식에 대해 경제학자들이 혼란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잘못된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경제학자들은 이 공식이 주요 지표를 잘못 추정하여 국가별 관세율이 과장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Office of the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가 발표한 트럼프의 광범위한 ‘상호’ 관세 계획의 공식은 미국의 무역 적자를 해당 국가의 수출로 나눈 후, 이를 다시 두로 나누는 방식을 따른다. 기본적으로 트럼프는 거의 모든 국가에 대해서 10%의 기준 관세를 부과하였다. 그러나 경제학자들은 이 공식이 가져온 관세율의 산정 방식이 실제와는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국 기업 연구소(AEI)의 선임 연구원인 케빈 코린스와 스탄 뷰거는 이 공식이 수입 가격에 대한 관세의 탄력성을 0.25로 가정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1.0에 가까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이들이 잘못하고 있는 것은 소매 가격의 반응을 기준으로 관세에 대한 탄력성을 계산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하였다.
트럼프가 부과한 관세율은 10%에서 50%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만약 관세에 대한 탄력성을 수정한다면, 어느 국가의 관세율도 14%를 초과하지 않으며, 대부분은 10%가 될 것이라고 경제학자들은 주장하고 있다. 실례로, 트럼프가 발표한 계획에 따라 레소토의 관세율은 50%였으나, 조정할 경우 13.2%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주에 발표된 카토 연구소의 보고서에서는 트럼프가 관세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한 계산 방식에 있어 또 다른 오류를 지적하고 있다. 카토 연구소는 트럼프 행정부가 주장한 대중국 무역 가중 평균 관세율이 실제보다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예를 들어, 2023년 중국의 무역 가중 평균 관세율은 3%였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67%로 적시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관세 정책이 국제무역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할 수 있으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관세 정책이 실제 무역 현황과 맞지 않을 경우, 이는 단기적일지라도 시장에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글로벌 경제에 대한 신뢰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사건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단순한 정치적 목적을 넘어 경제적 기반을 뒷받침해야 함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는 사례로 보인다. 기존의 잘못된 관세 계산 방법이 수정되어야만, 보다 정확한 무역 정책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미국과 세계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