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익 가짜 코인으로 유도하는 신종 투자 사기 경계

[email protected]



최근 금융당국이 ‘투자 손실 보상’과 ‘코인 무료 지급’을 내세운 신종 투자 사기에 대해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사기범들은 과거 투자에서의 손실을 보상해주겠다는 미끼를 던지며,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른바 가짜 코인을 요구하는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 이들은 전화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피해자에게 접근하며, “투자 손실을 되돌려주겠다”는 식으로 신뢰를 쌓는다.

금융감독원은 이러한 사기 수법이 일반 소비자들에게 특히 악질적임을 지적하며, 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소비자경보를 ‘주의’ 단계로 발령했다. 피해자들은 과거의 투자 경험이 국면 전환의 기회를 제공해줄 것이라는 감정에 휘말려, 사기범의 행위에 쉽게 빠져들게 되는 경우가 많다.

사기범은 초기 보상금을 지급하겠다고 제안한 뒤, 이후 “지급액이 예정보다 많다”며 이를 돌려줄 것을 요구하거나, 거액의 추가 투자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피해자에게 추가적인 금전 요청을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피해자가 현금을 지급하게 되는 경우, 그 자산은 대부분 실체 없는 가짜 코인이 되어 피해자는 모든 투자금을 잃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로또 번호 예측 사이트나 주식 리딩방에 참여했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환불을 명목으로 회원가입비를 반환해주겠다는 수법도 포착되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의 경험에 재투자하려는 심리를 악용한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금감원은 이러한 신종 사기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를 타깃으로 삼고 있음을 강조하며, 이들이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에 주의를 기울라는 경고를 내리고 있다. “정부기관의 보상 권고로 연락드린다”, “투자 손실을 국가가 보상해준다”는 등의 발언이 등장한다면 반드시 사기를 의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가상자산과 관련된 사기는 그 특성상 기술적 이해가 부족한 일반인을 표적으로 삼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이러한 수법은 형태만 바꿔가며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금융 소비자들의 경각심과 함께 사전 대응 역량을 키워가는 것이 중요하다. 금융당국은 더 이상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소비자 교육 및 경고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