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암호화폐 트레이더 제임스 윈(James Wynn)이 약 67억 원 규모의 청산 손실을 기록한 사건이 발생했다. 블록체인 분석 전문 기업 룩온체인(Lookonchain)은 5일 현지시간으로 윈이 진행한 레버리지 거래 포지션이 단 하루 만에 전량 정리된 사실을 알렸다.
이번 사건의 배경은 윈이 4일에 스테이블코인 약 19만 7,000달러(한화 약 2억 7,373만 원)를 증거금으로 사용해 총 480만 달러(약 66억 7,200만 원) 규모의 레버리지 거래에 돌입한 것에서 시작된다. 그는 거래를 시작하며 “잃어버린 것을 되찾으러 간다”는 도발적인 메시지를 소셜 미디어에 게시하여 많은 관심을 모았다.
윙의 포지션은 세 가지로 나뉘며, 첫 번째는 34 비트코인(BTC)에 대해 40배의 레버리지를 적용한 롱 포지션으로 약 385만 달러(약 53억 5,150만 원) 규모였다. 두 번째 포지션은 밈코인인 킹페페(kPEPE) 1억 2,200만 개에 대한 10배의 롱 포지션으로 약 91만 7,000달러(약 12억 7,463만 원)였다. 마지막으로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712개를 대상으로 한 10배 레버리지 거래는 2만 8,000달러(약 3,892만 원) 규모였다.
그러나 시장의 높은 변동성이 지속됨에 따라 윈의 모든 포지션은 다음 날 전량 청산됐다. 그는 설정한 고레버리지 구조로 인해 잠재적 반등 기회를 전혀 가질 수 없었으며, 결국 모든 투자 자금을 잃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번 사건은 최근 고레버리지 투자가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트레이더 리스크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지나치게 높은 배율의 거래는 순식간에 전액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지식 없는 고위험 торговли는 감정적 결정을 부추기며, 원치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제임스 윈의 사례는 고위험 암호화폐 거래의 위험과 잠재적인 손실을 잘 보여준다. 시장의 변동성과 레버리지 거래의 위험성을 이해하고, 사전 조사를 통한 신중한 결정이 반드시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암호화폐 투자자는 필요한 주의와 교육을 통해 자신의 위험을 최소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