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의 경제 수석 이코노미스트 데이비드 메리클은 13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부과된 관세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분석 결과를 변함없이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새로운 관세가 이전에 부과된 것과 비슷한 영향을 미칠 경우, 올 가을에는 소비자가 비용 상승분의 약 3분의 2를 부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논란은 골드만삭스의 최근 보고서에서 시작되었다. 이 보고서의 저자인 엘시 펭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소비자가 관세 비용의 약 22%를 부담하고 있으며, 현재의 관세 추세가 지속될 경우 이 비중이 67%로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 상승률이 올해 6월의 2.8%에서 연말에는 3.2%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보고서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반응은 즉각적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기가 만든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골드만삭스의 CEO인 데이비드 솔로몬에게 새로운 이코노미스트를 고용하든가 DJ 활동에 전념하라고 비난했다. 트럼프는 관세가 미국 내 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며, 그 부담은 기업과 정부, 외국이 더욱 많이 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메리클 이코노미스트는 트럼프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며, “미국 내에서 생산하고 외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보호받는 기업들은 가격을 인상하여 이익을 얻으려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그의 예측일 뿐만 아니라, 다른 이코노미스트들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관세 인상의 물가 영향이 일회성일 것으로 예상하면서, 현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주요 우려 요인이 물가 인상보다는 노동 시장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비판이 골드만삭스의 업무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질문에, 메리클은 “우리는 고객을 위해 최고의 경제 전망을 제시하려고 노력하며, 앞으로도 우리의 분석을 보고서를 통해 발표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러한 입장은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 관세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골드만삭스는 소비자 부담 증가에 대한 연구를 계속 진행하며, 향후 경제 데이터와 상황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미국 경제 정책 및 기업 환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관계자들은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