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주 시장 개선 위해 수요예측과 공모가 결정 체계 강화 필요

[email protected]





코로나19 이후 국내 IPO 시장에서 공모주 상장일의 수익률이 급증한 반면, 상장 후 6개월 동안의 주가 하락폭도 크다. 이는 단기 차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증가, 낮은 수요예측의 가격발견 기능, IPO 공모주의 높은 유통제한주식 수 비중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자본시장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공모가 대비 상장일 수익률은 74.7%로 2019년의 27.8%와 비교해 현저히 상승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상장 후 6개월간 주가는 평균 28% 하락하는 등 하락폭도 상당했다. 이에 따라 공모주 시장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기 투자자 중심의 수요예측 배정 시스템을 갖추고, 공모가 산정 시 기관뿐 아니라 개인 투자자의 수요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연구기관의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개인 투자자들의 IPO 참여가 증가하는데 비례해 기대심리가 높아졌고, 이는 가격발견 기능이 저하되면서 수요예측 결과와 실제 공모가 간의 괴리를 더욱 심화시켰다. 기관투자자와 개인투자자 간 수요예측 경쟁률의 편차 또한 확대되어, 단기 거래를 노린 투자자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에서는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장기적인 가치에 중점을 두고 수요예측에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정 기관투자자가 제시한 평균 희망가격이 주관사가 제시한 공모가 범위보다 높은 경우, 수요예측 경쟁률이 1000대1을 넘기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200대1 이하로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단기적 수익에 초점을 맞춘 투자 행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개인 청약률은 상장 후 5 영업일과 3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도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코로나19 이후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석훈 연구원은 개인 투자자의 청약률이 공모주 시장에서 중요한 정보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이들의 변동이 전체 수요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보고서는 IPO 시장의 질적 성장과 건강한 생태계 형성을 위해 주관사들은 장기 투자자 및 공모가 결정에 기여하는 기관 투자자를 식별하고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공모주를 배정해야 한다고 추천하고 있다. 수요예측 제도의 가격발견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해외 사례처럼 개인 청약률까지 포함하여 다양한 수요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과도한 단기차익을 제거하고 참여 유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