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에서 제작된 공포 영화 ‘투게더’가 중국에서 상영되는 동안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영화의 동성 결혼 장면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이성 결혼 장면으로 조작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검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일(현지시간) 영국의 가디언은 이러한 내용을 보도하였다.
호주 영화 ‘투게더’는 시골로 이주한 젊은 부부가 겪는 괴기한 신체 변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지난달 12일 중국 내 일부 극장에서 개봉하였다. 그러나 영화의 두 남성이 결혼하는 장면이 문제가 되었는데, 상영 도중 한 남성의 얼굴이 AI 얼굴 합성 기술을 통해 여성이 되어 있는 것이 관객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관객들은 원본 장면과 조작된 장면을 비교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올리면서, 중국 정부가 단순한 삭제나 편집이 아닌 ‘디지털 변조’를 통해 검열을 시행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였다.
이런 일이 발생하자, 현지 네티즌들은 “AI 합성은 원작자의 의도를 심각하게 왜곡하는 행위”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한 관객은 “공포영화보다 더 두려운 것은 바로 중국 내 현실”이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결국, 논란이 확산되자 영화 배급사는 전국 개봉을 취소하기로 결정하였다.
중국에서의 해외 콘텐츠 검열 문제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2018년 개봉한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에서는 주인공 프레디 머큐리가 성 정체성 문제로 고뇌하는 장면이 삭제되었고, 인기 시트콤 ‘프렌즈’에서도 레즈비언 캐릭터의 대사가 사라지는 등의 사례가 있었다. 공식적으로 중국 정부는 동성애에 대해 “지지하지도 반대하지도 않겠다”는 중립적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LGBTQ+ 관련 콘텐츠 및 단체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중국의 검열 방식에 대한 대중의 우려를 더욱 부추기고 있으며, 콘텐츠 제작자 및 소비자 모두에게 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인권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만큼, 문화 콘텐츠에 대한 검열이 과연 어떤 정당성을 가질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