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양식품과 오리온 등 한국 식품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과 관세 증가라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주가가 호조세를 보이며 선전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K푸드에 대한 높은 소비자 충성도 덕분에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 긍정적인 실적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삼양식품은 17일 거래에서 전일 대비 0.43% 상승한 93만6000원에 거래를 마감하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으로 인한 관세 우려가 있었으나, 올해 2월부터는 강력한 수출 데이터가 이어지면서 긍정적인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SK증권의 박찬솔 연구원은 “식료품은 필수 소비재이므로 관세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 내 불닭볶음면의 가격이 일본 제품보다 낮기 때문에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수요 감소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리온 또한 긍정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지난 첫 분기, 중국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하며 매출이 완전히 회복세를 보였다. 이렇듯 중국 시장이 다시 한 번 가파른 성장세로 돌아선 가운데, 해당 국가의 1분기 GDP 성장률도 전년 대비 5.4% 증가하면서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은 오리온의 매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다른 식음료 기업들도 주가 상승세를 타고 있다. 예를 들어, 동원산업은 자회사 동원F&B의 자진상장폐지로 중복 상장 문제를 해결하며 연초 대비 15.7%의 주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K푸드는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 확고한 충성 고객을 확보하며 식품 소비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상황은 한국 식품산업의 강력한 국제 경쟁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으며, K푸드에 대한 소비자의 사랑은 관세 및 원가 상승 등 여러 악재 속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앞으로의 시장 전망이 더욱 기대되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