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3월의 월 교육 물가는 1년 전 대비 2.9% 상승하여, 2009년 금융위기 이후 16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학부모들과 학생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올해 사립대학교를 중심으로 등록금이 인상되었고, 유치원비 또한 약 9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르는 등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다.
교육 물가 상승의 주된 원인은 사립대학 등록금 인상이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올해 사립대학 10곳 중 8곳이 등록금을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기준으로는 전체 사립대 151곳 중 120곳이, 국공립대 39곳 중 11곳이 등록금을 올리면서, 사립대 등록금은 전년 동기 대비 5.2% 상승했다. 이는 2009년 2월(7.1%)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국공립대 등록금도 지난 2월에 비해 1.0% 상승하여 동결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증가의 배경에는 정부의 등록금 동결 정책이 장기적으로 이어졌으나, 올해 많은 대학들이 재정 난을 호소하며, 법정 상한선 내에서 등록금을 인상하는 것을 선택하게 된 것이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학 등록금 인상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나 정부 지원이 부족해지면서 많은 대학이 이러한 선택을 하게 되었다”고 설명하였다.
더불어, 교육 관련 다른 비용들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가정학습지 비용은 전년 대비 11.1% 증가하였으며, 태권도 등의 운동학원비도 3.9% 상승하였고, 유치원비는 지난달에 4.3% 오르며 2016년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와 같은 교육비의 전반적인 상승은 가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중학생과 대학생 자녀를 둔 홍진영(46) 씨는 “무차별적인 인상 움직임이 가계 부담을 상당히 키우고 있어 학부모로서 고민이 크다”며, 대안이 없는 현실을 털어놓았다. 교육 물가의 이러한 경향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므로, 학부모들은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등록금 인상 억제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대학들은 계속해서 비용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정부는 대학 투자를 확대하고, 국민의 부담을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