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미생물, 췌장암 위험을 세 배 높이는 이유

[email protected]



최근 미국 뉴욕대 의대 연구팀은 구강 내 세균과 곰팡이가 췌장암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우리의 구강 위생 관리가 단순한 치아 건강을 넘어서서 암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 의학 저널인 ‘자마 온콜로지(JAMA Onc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12만여 명의 미국 성인으로부터 타액 샘플을 수집하여 약 9년 동안 구강 내 미생물 유전 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445명이 췌장암 진단을 받았으며, 이들의 구강 미생물군을 암에 걸리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몇 가지 주요 세균과 곰팡이가 췌장암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Porphyromonas gingivalis’, ‘Eubacterium nodatum’, ‘Peptostreptococcus micra’ 등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세균과 곰팡이의 한 종류인 ‘칸디다(Candida)’가 주된 위험 인자로 밝혀졌다. 이들 미생물이 구강 내에서 많이 존재할 경우, 췌장암 발병 위험은 평균보다 최대 3.5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강 내 미생물이 침을 통해 췌장으로 이동하여 염증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설을 기반으로 한 연구 결과이다.

연구팀은 또한 췌장암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27종의 세균과 곰팡이의 분포를 바탕으로 개인의 췌장암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도 개발했다. 연구에 참여한 리처드 헤이즈 교수는 “정기적인 칫솔질과 치실 사용은 치주질환 예방을 넘어, 암 발병 위험을 줄이는 데에도 필수적이다”라며 구강 위생 관리를 선택이 아닌 필수로 강조했다. 공동 연구자인 안지영 교수는 “구강 내 미생물 분석을 통해 췌장암의 고위험군을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고 전하며 향후 연구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이번 연구는 구강 건강이 전반적인 건강, 특히 암 예방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를 환기시키며, 구강 위생 관리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주고 있다. 연구진은 앞으로도 구강 내 바이러스와 암 발생의 연관성 및 미생물 다양성이 환자의 생존율이나 치료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