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테크아레나 컨퍼런스에서 구글과 메타의 고위 정책 책임자들이 유럽의 인공지능 산업이 지나친 규제로 인해 발전 속도가 저해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유럽의 엄격한 기술 규제가 혁신을 억누른다는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발언이다.
메타의 공공 정책 담당 부서장인 크리스 유이(Cris Yiu)는 유럽의 기술 규제에 대한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현재 법안들이 너무 분산되어 있거나 특히 AI 법안과 같이 지나치게 강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유럽의 규제는 제품 출시 지연이나 품질 감소를 초래하고, 결국 유럽 시민과 소비자들이 피해를 본다”며 그 결과가 심각하다고 경고했다.
유이는 메타의 최신 제품인 레이밴 스타일의 AI 안경을 언급하면서, 이러한 혁신적 기술이 규제 문제로 인해 유럽에서 제대로 출시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안경은 음성을 다른 언어로 번역하거나 시각 장애인을 위해 이미지 설명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메타는 유럽의 복잡한 규제 시스템에 대한 준수를 위해 AI 기능의 출시를 지연시켜야 했다고 전했다.
구글 딥마인드의 공공 정책 책임자 도로시 추(Dorothy Chou) 또한 유럽의 인공지능 법안이 현재 기술 발전 속도와 맞지 않다고 지적하며, 정책이 비즈니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같은 정책들이 어떻게 투자 환경을 조성하는지의 예를 들며, 유럽에서도 지속 가능한 산업 성장을 보장할 수 있는 방식으로 규제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빅테크 기업들은 유럽의 규제에 대해 반발하며 로비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메타의 새 글로벌 정책 담당 최고 책임자는 현재 형태의 규제안에 가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는 그 규정들이 AI 법안의 요구 사항을 초과하며 실현 가능성이 낮은 요구를 부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유럽 내 여러 벤처 자본가들도 복잡한 규제 compliance가 스타트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한 벤처 투자자는 미국은 5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프로젝트를 통해 희망적인 메시지를 내고 있는 반면, 유럽은 좀 더 극단적인 서사를 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유럽은 GDPR과 AI 법안을 넘어서는 혁신적 성공 사례를 통해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유럽의 기술 시장에서의 규제 문제는 기업들이 국경을 넘어 인재를 유치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주식 분배 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번 논란은 유럽연합의 기술 규제 및 인공지능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한 중요한 논의로 이어졌으며, 기술 기업들과 정책 입안자 간의 갈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