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2025년 10월 29일부터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며, 미국, 유럽연합(EU) 등을 포함한 15개 이상의 관할지역에서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에게 합법적인 라이선스 취득과 산업 표준 준수를 반드시 요구할 예정이다. 이번 정책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격차없이 암호화폐 지갑을 제공하는 개발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각 지역의 규제 요건을 충실히 이행해야 함을 의미한다.
미국 내 개발자들은 이제 금융범죄단속네트워크(FinCEN)에 ‘돈 서비스 사업체(MSB)’ 또는 ‘송금업자’로 등록해야 하며, 이는 단순한 등록에 그치지 않고 상세한 자금세탁 방지(AML) 프로그램을 갖추는 등 복잡한 요건을 충족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로 인해 고객신원확인(KYC) 절차가 강화되고,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커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EU의 경우, 개발자들은 ‘암호자산 서비스 제공업체(CASP)’로 등록해야 하며, 이는 EU 내에서도 글로벌 규제의 강화 흐름에 맞춘 조치로 해석된다. 이러한 정책들은 업계의 전반적인 변화와 적응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며, 구글의 정책은 보관형 지갑과 비보관형 지갑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규제 기준을 적용하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사용자 키의 보관 여부와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지갑 서비스가 모두 규제를 받게 되는 것이다.
구글의 이번 결정은 암호화폐 앱 생태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소 개발사와 신생 프로젝트들의 시장 진입 장벽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기존의 지갑 서비스 제공업체들에게도 라이선스 확보와 내부 관리 시스템 구축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우려를 안겨준다. 이러한 변화는 업계의 생태계 전반에 불확실성을 가져올 수 있으며, 시장의 경쟁 구도에도 큰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구글 측에 추가적인 입장을 요청했으나, 보도 시점까지 공식적인 답변은 받지 못한 상태이다. 이번 정책이 전 세계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업계의 대응 방안은 지속적으로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