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과 관세 협상을 위해 29일 취임 후 첫 방미를 결정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대한항공편으로 10시 25분에 출발하며, 2박 3일 동안 미국에서 관세율 인하를 위한 최종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출국에 앞서 구 부총리는 “한국이 준비한 프로그램과 현재의 경제 상황을 충분히 설명하고, 조선업 등 한미 간 중장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대해 논의하겠다”라며 협상의 목표를 강조했다. 그는 “국익을 중심으로 한 서로의 상생을 도모할 협상안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방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 시한(8월 1일)을 불과 사흘 앞두고 진행된다. 구 부총리는 오는 31일 워싱턴 D.C.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직접 면담하며, 미국이 부과한 25% 관세율을 낮추기 위한 통상 협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협상은 산업통상자원부의 김정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조율했던 관계와 최종안을 다듬는 자리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협상 시한이 하루 남짓 남아 있어 최후 담판의 성격을 띤 이번 협의에서는 수십 조원 규모의 조선업 협력안 외에도 대미 투자 규모,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및 쌀 등 농축산물 시장의 추가 개방 여부도 논의될 전망이다.
정부는 1000억 달러 이상의 대미 투자안을 제시할 계획인 반면, 미국 측은 4000억 달러의 투자를 제안하고 있어 두 나라 간의 간극을 좁힐 수 있을지에 귀추가 주목된다. 구 부총리는 면담 이틀 전에 미국에 도착해 현지의 산업통상 실무진들과 회의를 통해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 전략을 세울 예정이다.
이와 같은 한미 통상 협상은 양국의 경제 동반 성장에는 물론, 기업 환경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구 부총리의 이번 방미 성과가 향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