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화재로 인해 연간 145조 원이 거래되는 국내 공공조달 시스템인 ‘나라장터’가 마비되면서 정부와 기업이 비상 상황에 처했다. 지난 26일부터 접속이 불가능했던 나라장터는 대전 본원에 있는 서버의 화재 여파로 정부 전산망의 마비가 초래되었으며, 이로 인해 비상대응체제가 발동되었다.
나라장터는 공공기관과 기업 간의 전자거래를 위한 플랫폼으로, 국가 조달 업무의 64.5%를 차지하는 중요한 시스템이다. 지난해 기준으로는 전체 공공조달 규모가 225조 1000억 원에 달하며, 그중 나라장터를 통한 거래 실적이 145조 1000억 원이었다. 이러한 시스템 장애가 장기화될 경우 계약 지연과 기업의 업무 차질 등의 연쇄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획재정부의 회계 시스템인 ‘디브레인’도 같은 이유로 중단되어 세금 납부와 증명서 발급에도 차질이 생겼다. 국세청은 시스템 장애로 인해 다양한 납부 방식이 불가능해지고, 전자 발급 역시 제한되는 등 국민에게 불편을 겪게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8일 오후 4시 40분경 디브레인 시스템이 정상 복구되었다고 밝혔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국민이 불편을 겪어야 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1개의 서비스가 현재 접속 불가능 상태에 놓여 있으며, 대국민 서비스와 내부 업무 서비스가 모두 영향을 받고 있다. 정부는 이 같은 상황에서 온라인 처리가 불가능한 인허가 신청을 수기 방식으로 처리하고 결과를 서면 또는 팩스로 통보하는 방침을 세웠다. 이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국민들은 긴급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대체 수단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으며, 예를 들어 전략물자 수출심사 신청은 기존의 전용 플랫폼이 아닌 이메일 등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안내됐다. 특히, 주민등록등본 등 기본적인 서류 발급이 지연되고 있어 많은 시민들이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전체 공공조달 시장의 안정성과 기능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정부와 기업들은 긴급 대응을 통해 시스템 복구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공공기관의 업무 차질이 장기화되지 않기를 바라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