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로봇산업의 급속한 성장 속에서,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투자 전략은 크게 나뉘고 있다. 삼성, SK, 현대자동차, LG전자로 구성된 4대 그룹은 막대한 현금력을 바탕으로 직접 로봇 기업을 인수하고 시장 지배력을 높이고 있는 반면, 두산, 한화, HD현대 등 기타 그룹은 외부 투자를 유치하여 점진적으로 시장에 진입하며 특화된 분야를 개발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최근 투자은행(IB) 업계 자료에 따르면, 4대 그룹은 각각 수천억원에서 약 1조원을 들여 다양한 로봇 회사를 인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예컨대, 삼성전자는 최대 1조원 이상의 투자를 통해 오는 2029년까지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을 60%로 확대할 예정이며, 현대자동차는 2020년 보스톤 다이나믹스의 80%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 1조원을 투자했다.
LG전자의 경우, 3500억원을 들여 베어로보틱스의 51% 지분을 확보하였고, SK온은 지난 1일 유일로보틱스의 2대 주주가 되기 위해 367억원을 투자하였다. 이외에도 SK온은 향후 5년 내에 유일로보틱스의 지분 23%를 주당 2만8000원에 매입할 수 있는 콜옵션을 보유하고 있어, 최대주주로의 전환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히 삼성, SK, 현대차는 궁극적으로 ‘이족보행 로봇’, 즉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AI와 결합하여 산업 전반에서 혁신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LG전자는 로봇 부품 및 제조 역량 강화에 집중하며 특화된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두산, 한화, HD현대는 외부 자본을 활용하여 로봇 산업을 키우는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두산로보틱스는 협동 로봇 시장에서 세계 5위 사업자로 자리 잡고 있으며, 2021년에는 프랙시스 및 한국투자파트너스로부터 4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어 2023년 10월에는 상장을 통해 4212억원을 조달하였다.
HD현대와 한화도 두산의 모델을 따를 가능성이 큰 상황으로 보인다. 협동로봇 시장을 겨냥하면서도 재무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프리IPO 등의 외부 투자 유치 전략을 고려하고 있다. HD현대로보틱스는 프리IPO로 2500억원을, 한화는 초기 투자금으로 500~1000억원을 모집하고자 하는 계획이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글로벌 로봇산업은 제조용 로봇, 전문 서비스용 로봇, 소비자용 로봇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중 협동로봇의 성장률이 가장 높다고 한다. 협동로봇은 인간과의 협업을 통해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현재 연간 약 5만7000대가 판매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4대 그룹이 직접 인수를 통해 시장 지배력을 노리는 반면, 기타 그룹은 유연한 투자 전략으로 리스크를 줄이며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며 “향후 협동로봇과 AI 로봇의 결합이 산업 전반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