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토큰포스트 랩스가 발표한 두 번째 보고서는 국내 상장기업들의 암호화폐 전략에 대한 심층 분석을 제공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상장기업의 자산 보유 현황과 재무 전략을 중심으로,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보유 확대, 전환사채(CB) 활용, 그리고 원화 스테이블코인 진출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강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상장기업들의 가상자산 보유 규모는 2022년 하반기 2,010억 원에서 2024년 하반기에는 3,120억 원으로 55%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2024년 1월 시행된 공시 의무화 덕분에 기업들의 자산 편입이 보다 투명해졌으며, 이에 따라 적극적으로 암호화폐 투자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가장 눈에 띄는 기업 중 하나는 비트맥스로, 551 BTC(약 874억 원)를 보유하고 있는 가장 큰 보유 기업으로 자리잡았다. 위메이드는 게임과 블록체인 결합 전략을 내세우며 223 BTC와 310 ETH를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네오위즈홀딩스는 547 ETH와 다양한 암호화폐를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 9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러한 대기업들의 참여는 암호화폐가 제도권의 투자 대상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특히, 이번 보고서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전환사채 활용 전략이다. 비트맥스는 1,000억 원 규모의 CB를 발행하여 이 자금을 비트코인 매입에 사용하였고, 불과 30일 만에 주가가 135% 상승하는 성과를 올렸다. 또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바이오 기업에서 디지털 자산 전문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선언했으며, 앱트뉴로사이언스는 미국 자회사를 통해 우회 투자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니텍은 안정적 CB 인수 구조를 통해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으며, CB를 발표한 기업들의 평균 수익률은 79%에 달했다.
또한 보고서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차세대 격전지로 지목하고 있다. 이니텍은 자회사 케이클원을 통해 ‘KRWIN’ 발행을 본격화했으며, 다날은 20개 상표권을 확보하여 시장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네이버페이는 두나무와의 합작법인을 구상 중이며, 3천만 사용자 기반을 활용하여 결제 시장에 연결할 계획이다. 갤럭시아머니트리, 코나아이, 쿠콘 등의 기업들도 각각 지역화폐, 결제, 데이터 인프라를 통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의 평균 30일 주가 상승률은 17.15%로 집계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토큰포스트 랩스는 국내 상장기업들의 가상자산 전략이 단순한 투자 차원을 넘어 기업 본업과 결합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발전하고 있음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밸류에이션, 레버리지 리스크, 불확실한 규제 환경 등은 여전히 주요한 리스크 요소로 지적되었다.
이번 보고서는 제도화로 인해 새롭게 제시된 투자 패러다임과 기업들의 차별화된 전략을 포괄적으로 담고 있으며, 향후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