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투자자, 미국 주식 보유액 사상 최대…가상 자산 관련 주식 집중 매수

[email protected]



국내 투자자들이 보유한 미국 주식의 평가 금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는 최근 가상 자산에 대한 투자 열풍에 힘입은 결과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간접 투자가 늘어나면서 미국 주식 시장에서 특정 업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예탁결제원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8월 12일 기준으로 국내 투자자들이 보유한 미국 주식의 총 보관 금액이 1천377억 달러에 달해, 올해 초 1천90억 달러에서 약 22.7% 증가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수치로, 일반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매수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과 함께, 특히 디지털 자산 테마에 대한 투자 방향성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최근 한 달(7월 14일~8월 13일) 동안 가장 많이 매수된 미국 주식 10개 종목 중 3곳이 가상 자산 관련 기업이라는 점이다. 암호화폐 채굴 및 투자 사업을 운영하는 비트마인은 순매수 규모가 약 2억9천200만 달러에 달하며 1위를 기록했고, 샤프링크 게이밍과 코인베이스가 각각 7위와 8위에 올랐다. 이들 기업은 모두 이더리움을 활용한 전략으로 암호화폐 시장과 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직접적으로 가상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ETF(상장지수펀드)와 같은 금융 상품이 아직 허용되지 않은 상황도 미국 주식에 대한 수요를 더욱 부추기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더리움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스테이블 코인의 법제화가 진행 중인 점 또한 이더리움의 시장 가치 상승 기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은 올해 말까지 이더리움의 가격 전망을 7천500달러로 크게 상향 조정한 바 있다.

하지만 디지털 자산의 변동성과 급변하는 기술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전문가들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경고를 내놓고 있다. 일부 스테이블 코인이 이더리움이 아닌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되면서竞争 구도가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 주식 시장에서도 투자 자금의 유입이 이어지며 활기를 되찾고 있다. 한국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8월 둘째 주 기준으로 투자자의 예탁금이 67조8천억 원으로 소폭 증가했으며, 증시 상승 기대감을 반영하는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2조 원을 돌파했다. 단기 자금이 집중되는 CMA 잔고는 86조8천억 원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MMF(머니마켓펀드)는 소폭 감소세를 나타냈다.

이러한 흐름은 국내의 규제 환경 변화와 미국 증시의 가상 자산 관련 기업 실적에 따라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한국 내에서의 가상 자산 상품의 합법화 여부와 미국 내 디지털 경제 관련 정책의 변화는 투자 방향에 큰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