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은 최근 자본시장에서 논란을 일으킨 기업들의 주식을 매도하고, 향후 실적 상승이 기대되는 기업들의 지분을 늘리는 전략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매도 과정에서 총 208만9753주의 이수페타시스 주식을 처분했다. 이수페타시스는 탄소 나노튜브(CNT) 제조업체로, 제이오 인수를 위한 유상증자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리스크로 인해 국민연금은 해당 기업의 지분을 줄이기로 결정했다.
국민연금은 그동안 이수페타시스를 AI 시대의 주력 기업으로 보고 지분을 늘려왔으나, 제이오 인수와 관련된 자금 조달이 주당 순이익(EPS)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결과적으로 이수페타시스의 지분율은 10.74%에서 7.43%로 대폭 감소했다. 증권업계의 의견도 이러한 우려를 반영하고 있으며, 권태우 KB증권 연구원은 투자 리스크를 유발할 가능성을 지적했다.
DB하이텍의 경우에도 국민연금은 지분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최근 DB하이텍 소액주주단체가 KCGI에 대해 지분 매매 차익 의혹으로 소송을 제기하면서 의미 있는 가격조정을 겪었다. 국민연금은 지난 11월 29일 45만7602주를 매도하여 지분율을 9.32%에서 7.27%로 줄였다. KCGI는 DB하이텍의 경영권 참여를 선언하며 RI와 계약을 체결했으나 가격 변동성이 커지면서 후속 조치를 취하지 않는 상황이다.
이외에도 고려아연, 리가켐바이오, HK이노엔 등도 국민연금에 의해 차익 실현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고려아연은 MBK의 공개 매수 마감일 조정에 따라 국민연금은 지분율을 7.49%에서 4.51%로 낮추었다.
반면, 향후 기업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대해 국민연금은 지분을 늘리기로 하였다. 예를 들어, 알리바바와 합작법인을 설립한 이마트의 경우 지분율을 7.95%에서 10.01%로 증가시켰다. 이로 인해 이마트의 주가는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세계그룹은 G마켓을 현물 출자하는 방식으로 참여하여, 양사의 협업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대글로비스, HL 만도 및 현대엘리베이터와 같은 기업들도 국민연금의 주요 투자 대상으로 자리 잡고 있어, 이들의 실적 상승 가능성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연금은 장기 투자의 원칙을 유지하면서도 자본시장에서의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