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모펀드 K콘텐츠 투자 확대 예정

[email protected]



유리 옌크너 파트너스그룹 사장은 최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높은 거시경제 변동성이 사모펀드 시장에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현재의 경제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이는 오히려 사모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파트너스그룹의 리서치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M&A 거래량이 3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사장은 미국에서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고는 있으나, 생산 이전에 수반되는 막대한 비용을 고려했을 때 리쇼어링은 극히 일부만 진행될 것으로 밝혔다. 그는 “유럽 시장 역시 군비 지출 증가 등의 재정 확대 정책에 힘입어 더욱 매력적으로 부각될 것이다”라며, 유럽중앙은행이 금리를 1.5% 이하로 인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로 인해 유럽에서의 바이아웃 거래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유동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사모펀드들의 드라이파우더 규모를 고려했을 때 세컨더리 딜이 더 활성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세컨더리 딜은 유동화 목적으로 타 사모펀드 등에 매각하는 거래를 뜻하며, 최근 시장에서 이를 통한 투자 전략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인프라 시장에서는 데이터 센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북미에서 계약된 데이터 센터 수요는 2023년에 20GW에서 2034년까지 83GW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수요 증가로 인해 데이터 센터의 공실률은 역사적으로 낮은 2.6%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옌크너 사장은 한국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도 당부했다. 파트너스그룹은 2010년 한국 진출 이후 현재까지도 미국계 자산운용사를 제외한 글로벌 GP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그는 한국 콘텐츠 시장에 대한 높은 잠재성을 강조하며, 미국 할리우드에서 활발하게 활용되는 슬레이트 파이낸싱(Slate Financing) 모델을 예로 들었다. 이 모델은 여러 영화 프로젝트를 포트폴리오로 구성하여 개별 프로젝트의 흥행 실패를 상쇄하는 방식이다.

그는 “한국 시장은 기본적으로 많은 고급 기술 기반 기업들이 있어 강력한 펀더멘털을 지니고 있으며, 최근 콘텐츠 산업의 부흥과 맞물려 상당한 성장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한국 콘텐츠 산업의 글로벌화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사모펀드 시장의 투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