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글로벌 M2 유동성이 전주 반등세를 마감하고 보합 흐름으로 돌아섰다. 비지오메트릭스의 자료에 따르면, 9월 15일 기준 글로벌 M2 공급량은 113조9408억 달러로, 전주(113조7833억 달러) 대비 0.1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직전 주의 상승세가 지속되지 않고 다시 제자리 걸음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7주 동안의 누적 증가율은 -0.03%로, 전주(0.37%)에 비해 하락했다. 또한,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5.94%로 직전 주(6.05%)보다 소폭 둔화되었다. 이러한 수치는 여전히 완만한 확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뚜렷한 개선세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글로벌 유동성이 단기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시장 참가자들은 당분간 위험자산 확대보다는 신중한 자산 배분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비트코인 시장의 경우, MVRV Z-스코어는 2.33으로 전주(2.43) 대비 소폭 하락하였다. 이는 시장 평균 매입가 대비 평가차익이 줄어들며 단기적인 수익 실현 압력이 완화되었음을 나타낸다. 다만, 여전히 과열 구간(통상 Z-스코어 3 이상)과는 거리를 두고 있어 단기 급락 위험은 낮아지는 동시에 제한적 조정과 점진적 반등 가능성을 시사한다.
비트코인의 1년 이상 보유한 지분인 1+ Year HODL Wave 비율은 61.06%로, 전주(61.52%) 대비 소폭 하락하였다. 이는 장기 보유자들이 일부 온체인에서 이동했거나 제한된 차익 실현을 진행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전히 60%대 초중반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구조적 신뢰는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암호화폐 현물 ETF 시장에서는 최근 자금 유입과 매수세 회복이 두드러지고 있다. 소소밸류의 집계에 따르면 16일(현지시간)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에 총 2억9227만 달러가 유입되었다. 이는 지난 8일부터 16일까지 7거래일 연속 매수세가 지속된 결과이다. 반면, 이더리움 현물 ETF 시장에서는 같은 날 6174만 달러의 순유출이 발생했지만, 전 거래일까지 5거래일 연속 뚜렷한 유입세를 보였다.
17일 오후 3시 10분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0.97% 상승하여 11만7184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는 시장의 전반적인 신뢰 회복과 함께, 단기적인 변동성 속에서도 장기 투자 심리는 안정적이라는 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