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M2 통화 공급량이 지난주 보합세에서 벗어나 소폭 증가한 113조4839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9월 1일 기준으로, 전주 수치인 113조2304억 달러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M1), 2년 미만의 정기예금, 머니마켓펀드(MMF) 등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포함하여, 소비, 투자, 대출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자금량을 반영하는 지표로서 글로벌 유동성의 척도로 기능한다.
최근 7주간의 누적 증가율은 0.44%로 전주(0.00%) 대비 개선되었으며,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도 5.94%를 기록해 직전 주의 5.72%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여전히 제한적인 확장세에 머물러 있어 글로벌 유동성의 단기 개선 흐름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증가 모멘텀은 완만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시장 참가자들은 위험 자산의 확산보다 점진적인 유동성 회복세를 주시하며 방어적인 자산 배분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 비트코인은 M2와의 높은 상관관계로 인해 ‘유동성 바로미터’로 불리며, 약 10주 시차를 두고 M2 변화를 가격에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MVRV Z-스코어는 현재 2.11로, 전주 수치인 2.17에서 하락하며 2.0대 초반까지 떨어졌다. 이는 최근 몇 주간 이어진 평가차익 축소의 흐름을 반영하며, 시장의 과열 신호인 Z-스코어 3 이상의 수준은 더욱 희미해진 상태다. 이는 단기 차익 실현 동력의 감소를 의미하며, 장기 보유자(LTH)의 매도 압력이 낮아진 구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 현재 단기적으로는 “저가 매수 → 점진적 축적” 국면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중장기적인 반등 기반 마련에 힘을 실어주는 모습이다.
최근 암호화폐 현물 ETF 시장에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모두 단기 매수세가 꺾이고 순유출 흐름으로 전환되었다. 29일 기준으로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에서는 약 1억2664만 달러(약 1762억 원)가 순유출되었으며, 이는 이전 4거래일 연속 유입세에서 반전된 결과이다. 이더리움 현물 ETF 시장에서도 같은 날 총 1억6464만 달러(약 2291억 원)의 순유출이 발생하여 분위기가 바뀌었다.
현재 비트코인은 20일 오전 11시 55분 기준으로 전일 대비 0.80% 상승한 11만115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 동향은 유동성 지표뿐만 아니라, 매도 압력, 시장 과열 등 다양한 요인의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