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구리 가격 급등, 지정학적 긴장과 공급 부족이 원인

[email protected]



최근 금, 은, 구리, 팔라듐 등 귀금属의 가격이 동시에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진 데다 산업용 금속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25일(현지시간) 국제 금 가격은 트라이온스당 3771.1달러에 도달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은 가격은 한 달 사이에 17% 상승해 트라이온스당 45.11달러에 이르렀고, 팔라듐 가격도 하루 사이에 3.44% 상승했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무이자 자산 보유에 따른 비용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산업용 수요가 큰 구리는 하루 동안 4.56% 상승하여 톤당 1만312달러로 기록하며 1년 이래 가장 높은 가격에 도달했다. 이러한 상승은 중화권 증시의 긍정적인 흐름과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그라스버그 광산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한 달간 생산이 중단되면서 공급이 감소하자, 중국의 수요자들은 구리를 비축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구리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금속 가격 상승의 또 다른 요인은 현재 진행 중인 지정학적 갈등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휴전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과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에서의 군사 작전 등 중동 지역의 정치적 리스크가 증대되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더욱 높아졌다. 이는 금속 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지표가 예상보다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금리 인하 사이클이 후퇴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귀금속 가격이 현재의 강세를 계속 이어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산업계에서는 금속 가격 전망에 대해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지정학적 상황과 경제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

시장이 어떻게 변동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현재의 가격 상승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투자자들은 전략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지속적인 가격 상승이 가능할지 아니면 조정이 올 것인지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