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직후,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중심으로 약 7억 달러(약 9538억 원)의 청산이 발생하며 암호화폐 시장이 큰 혼란에 휘말렸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하는 위험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이번 경우는 정반대의 흐름을 보였다.
비트코인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둔 상황에서 11만 2000달러에서 11만 3000달러 사이라 횡보하였으나, 제롬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를 공식 발표하자마자 급락세로 전환되어 10만 9000달러대까지 하락했다. 이후에는 소폭 반등하여 11만 500달러 선을 회복했으나, 시장의 충격은 지속되고 있다. 이더리움 역시 3850달러 아래로 하락하며 하락 압력을 피하지 못했던 상황이다.
암호화폐 트레이더인 Merlijn The Trader는 “이번 FOMC 회의에서도 비트코인 가격 하락 패턴이 반복되었다”며, “과거 비트코인이 10%, 6%, 8%씩 하락했던 사례가 여전히 유효하다”고 지적했다. CME 선물시장에서 형성된 가격 ‘갭’이 이번 하락의 원인 중 하나라는 분석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규모 알트코인들도 시장 전반의 하락세를 따라 대규모 조정에 직면했다.
청산 규모는 하루에 7억 달러(약 9538억 원)를 넘었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이 발표 뒤 4시간 내에 발생했다. 청산된 트레이더 수는 15만 명을 초과하였고, 단일 청산 기준으로 바이비트(Bybit)에서 약 1100만 달러(약 149억 원)의 청산이 발생하며 가장 규모가 컸다. 이는 코인글래스(CoinGlass)에서 공개된 데이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금리 인하가 암호화폐 시장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특히, 강한 상승장이 이어진 직후에 금리 인하가 단기적인 차익 실현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정책 변화 이후의 자산 움직임을 더욱 세밀하게 분석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투자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