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희박해지면서 비트코인(BTC) 시장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비트코인 가격은 118,200달러(약 1억 6,420만 원) 선에서 움직이며 큰 변동 없이 횡보세를 보였다. 이는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이 극심한 가운데, 투자자들이 더욱 신중한 접근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블록체인 예측 시장 플랫폼인 폴리마켓(Polymarket)에서는 이번 주에 금리 인하 확률이 3% 미만으로 떨어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시장이 연준의 통화 정책에 대해 점차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많은 투자자들이 과도한 기대감을 버리고 ‘지켜보자’는 태도로 전환하면서 비트코인 가격 또한 이에 영향을 받고 있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현재 비트코인이 중요 지지선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심각한 하락 압력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만약 주요 지지선이 붕괴된다면, 비트코인은 최저 11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까지 후퇴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현재 가격 대비 약 5%의 추가 하락 여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예측은 기술적 분석에 기반한 것이며, 투자자들의 심리가 더욱 경계심을 키우고 있는 상황이다.
트레이더들은 6월에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한 템포 쉬는 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과 그의 경제 정책 방향이 중장기적으로 시장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이 얽혀 비트코인의 방향성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결국, 금리 정책, 거시경제 지표, 지정학적 리스크와 같은 다양한 요인이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현재는 저점 경계선 근방에서 제한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외부 요인보다 기술적 지표에 더욱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이는 비트코인 시장에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분석들은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향후 비트코인과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기술적 지표를 주의 깊게 살펴보며, 시장 변화를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