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확정, 암호화폐 시장의 변곡점에 서다

[email protected]



글로벌 투자사 에이엠매니지먼트(AM Management)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9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확실시됨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이 중요한 기술적 전환점에 도달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비트코인(BTC)은 지난주 대비 3.72% 상승하며 11만 5,26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으며, 동일 기간 동안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4.76% 증가하여 3.96조 달러에 이르렀다. 그러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ETH)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57.76%와 13.98%로 감소하여 자산 중심의 흐름이 다소 약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거시경제적 관점에서는, 8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2.9% 상승하며 인플레이션이 다시 반등했음에도 불구하고, 9월 FOMC에서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현재 시장에서는 금리가 400~425bp로 인하될 가능성을 96.4%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중립금리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에 따라 정책 경로가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에이엠매니지먼트는 보고서에서 기관과 개인 투자자가 일부 롱 포지션을 늘리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CME 비트코인 선물의 미결제약정은 6.9% 증가하여 2만 6,930건에 도달했으며, 개인 투자자들은 순롱 규모를 확대하면서 공격적인 포지셔닝을 지속하고 있다. 반면 기관 투자자들은 숏 포지션을 확대하며 방어적인 매매를 이어가고 있어, 기술적 저항 구간에서 리스크를 관리하려는 모습이 보인다.

ETF 자금 유입도 시장 회복의 주요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9월 8일부터 12일까지 미국 현물 비트코인 ETF에는 약 23억 달러의 자금이 순유입됐으며, 특히 Fidelity와 BlackRock이 주요 거래 주체로 나섰다. 이더리움 ETF 역시 하루 평균 2억 달러 규모가 유입되어 누적 순자산이 303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반면 온체인 활동과 네트워크 수수료의 감소는 단기적인 시장 모멘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트코인의 기술적 측면에서는 CME 갭을 성공적으로 해소한 상태며, 향후 일봉 기준 30일 이동평균선의 유지 여부가 방향성을 결정짓는 핵심 지표로 분석된다. 에이엠매니지먼트는 이러한 상승세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해당 지지선의 유지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며, 이를 지키지 못할 경우 하락 전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전반적으로 금리 인하는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ETF 자금 유입과 위험 자산 선호의 흐름은 구조적 강세를 이끌어낼 가능성을 암시한다. 하지만, 네트워크 활동 둔화와 기술적 저항 구간에 도달한 상황은 단기적인 변동성을 초래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시장은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와 매크로 경제적 이벤트, 암호화폐의 기술적 흐름 사이에서 다음 변곡점에 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