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홈플러스 사태 이후 사모펀드 부채 현황 면밀히 조사

[email protected]





금융당국이 국내 사모펀드(PEF)와 관련된 부채 현황을 면밀히 조사하며 규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MBK파트너스가 2015년 과도한 차입을 통해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발생한 회생 절차에 대한 후속 대책으로 풀이된다.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를 인수하기 위해 총 6조원을 투자했으며, 그중 2조7000억원을 인수금융으로 조달했으나, 홈플러스는 결국 빚을 상환하지 못하고 법원에 회생을 신청하게 되었다.

30일 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상위 30개 사모펀드에 대해 부채 현황 자료를 요청하고 있으며, 이는 주요 M&A 거래와 관련된 특수목적법인(SPC)과 피인수회사의 부채 현황을 포함하고 있다. IB 업계 관계자는 “기관에서 몇 차례 부채 관련 자료 요청이 들어온 것은 과도한 차입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IB업계에서는 이러한 조치가 불필요한 규제로 이어져 PEF 산업의 경쟁력을 저하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일정 부채비율 이상의 경영권 인수를 제한하거나, 인수금융에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한도를 설정하는 등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PEF와 관련한 제도 개선 연구 용역을 진행 중이며,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언급했다.

홈플러스는 현재 차입금 1조2000억원을 포함한 2조원가량의 부채를 안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점포 매각과 같은 방법으로 차입금을 줄이고 있으나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번 금융당국의 부채 현황 조사는 향후 사모펀드의 M&A 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시장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사모펀드의 투자 방향과 전략에 큰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사모펀드의 안정적인 운영과 지속가능한 성장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철저한 감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다. 앞으로의 규제가 국내 PEF 산업에 미칠 영향은 상당할 것이며, 실질적인 제도 변화가 이루어질지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