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에 대한 조사 결과를 이르면 다음주 중에 검찰에 이첩할 방침이다. 금감원과 금융위원회는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가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던 정황을 포착했으며, 이로 인해 사기적 부정거래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MBK·홈플러스 사태에 대한 처리 속도를 강조하며, “증권선물위원회에 통상적으로 상정하는 일정은 바뀔 수 있지만, 신속히 필요한 절차를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신용등급 하방 위험을 인지한 시점과 회생 신청 계획의 수립 시기가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부원장은 이번 사건과 관련하여 “신용등급 하락 결과 발표 전, 등급 하락을 이미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회생 신청 계획을 세운 상태에서 채권 발행을 시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 휘말리고 있다. 반면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는 해당 의혹을 부인하며, 신용등급 하락이 결정된 이후에야 회생 신청을 고려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홈플러스의 채권을 발행하고 판매한 신영증권, 하나증권, 현대차증권, 유진투자증권은 홈플러스와 경영진을 사기 등의 혐의로 고소한 상태이며, 서울중앙지검이 현재 이 사건을 수사 중이다. 금융당국의 조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해당 사건은 검찰로 넘어가 더욱 심도 있는 법적 절차로 이어질 전망이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달 3일 기준 홈플러스의 단기채권 판매 잔액은 5949억원에 이르며, 이 중 증권사 등을 통해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된 금액은 2075억원으로 분석됐다. 이와 같은 통계 수치는 홈플러스의 재정 건전성이 불거진 이 시점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이 사건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금융당국의 대응 속도는 향후 금융시장에 대한 신뢰도를 다시 구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