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PEF 부채 현황 철저 제출 요청 및 규제 강화 방침

[email protected]





금융당국이 국내 주요 사모펀드(PEF)에게 투자한 기업의 부채 관련 자료를 면밀히 제출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조치의 배경은 과도한 차입을 통한 인수·합병(M&A)을 제한하고, 사모펀드의 투자 활동 전반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MBK파트너스가 2015년 2조7000억원의 대출을 통해 마트 2위 업체인 홈플러스를 인수한 이후, 해당 기업이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회생 절차를 밟게 되자 금융당국의 후속 대책이 마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3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상위 30개 사모펀드를 대상으로 부채 현황 자료를 수집 중이며, 주요 M&A 거래와 관련하여 인수 목적으로 설립된 특수목적법인(SPC) 및 피인수 기업의 부채 현황 자료를 요구하고 있다.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차입 여부와 관련된 자료 요청이 잦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MBK가 인수한 홈플러스의 회생 신청이 추진되면서 금융당국은 사모펀드가 일정 부채 비율 이상으로 경영권을 인수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인수금융에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한도를 제어하는 방향으로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불필요한 규제가 생길 경우, 한국의 PEF 산업이 지난 20년간 쌓아온 경쟁력을 잃을까 우려된다고 전했다.

금융감독원 측에서는 PEF와 관련된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이 진행 중이며,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MBK는 홈플러스를 인수하기 위해 총 6조원을 투자했으며, 이 중 2조7000억원을 차입금으로 조달한 바 있다. 그러나 홈플러스는 단기 유동성 압박을 겪으며 지난 3월 4일 법원에 회생을 신청하게 되었다. 이처럼 과도한 차입 문제에 대해 시장에서는 심각한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금융당국의 이러한 조치는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에 따른 위험을 줄이고, 기업들의 재무 건전성을 높이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사모펀드 업계는 규제 강화가 오히려 투자를 위축시키고, 국내 시장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향후 금융당국의 조치가 사모펀드의 운영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과도한 차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규제 내용이 어떻게 정해질지 주목된다. 이는 한국 기업의 M&A 환경 및 투자자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