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투자자를 위한 온체인 금융의 새로운 가능성 – ‘ONCHAIN SYMPOSIUM 2025’가 주목받다

[email protected]



스테이블코인이 디지털 자산을 넘어 글로벌 금융의 중추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오는 2025년은 스테이블코인이 결제 및 자산 운용의 핵심 기반이 되는 원년으로 예상되고 있다. 메사리(Messari)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러한 전망을 내놓으며, 실물자산(RWA)의 토큰화와 ETF, 국채 기반 상품 등 제도권 금융 자산의 온체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금융의 경계는 점차 흐려지고 있다.

서울 강남 조선팰리스에서 9월 10일 개최될 ‘ONCHAIN SYMPOSIUM 2025’는 이와 같은 변화의 중심에서 기관투자자들에게 중요한 플랫폼이 될 예정이다. 이 행사는 토큰포스트의 주최 아래, 코인리더스와 함께 테더(Tether)와 크립토닷컴(Crypto.com)이 협력하여 마련되며, 메사리(Messari)가 연구 파트너로 참여한다. 비자(Visa), 카이코(Kaiko)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참여하여 스테이블코인과 온체인 금융 인프라의 현주소와 미래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들어 스테이블코인의 공급량과 거래 규모는 각각 46%와 63% 증가하여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은 국제 금융사와 핀테크 기업들이 결제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비자는 7월에 스텔라(Stellar)와 아발란체(Avalanche) 기반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공식 지원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였다.

RWA 토큰화 또한 주목할 만한 영역으로, 현재 200억 달러 규모의 실물 자산이 온체인으로 이전되고 있으며, 블랙록, 아폴로, 인베스코 같은 월가 대형 자산운용사들이 이에 참여하고 있다. 국채 및 민간 대출, ETF, 머니마켓펀드 등 다양한 제도권 자산의 토큰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최대 30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ONCHAIN SYMPOSIUM 2025’에 참여해야 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첫 번째로, 이 행사에서는 제도권 금융과의 밀접한 연결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RWA, ETF, Treasury 상품 등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안받을 수 있다. 두 번째로, 정책, 세무, 법률에 관한 논의가 포함되어 규제 환경을 직접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기업 및 기관 관계자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실무 중심의 인사이트와 실행 가능한 전략을 교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김지호 토큰포스트 대표는 “이번 심포지엄은 기술과 제도를 넘어 실제 협업과 사업 기회로 연결되는 자리”라고 강조하며, “토큰포스트는 글로벌 리서치 네트워크와의 협업을 통해 한국 기업과 기관들이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글로벌 자금망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스테이블코인이 주도하는 금융 혁신은 이제 단순히 디지털 자산 생태계 안에서의 논의로 국한되지 않는다. 실물자산과 ETF, 국채 등 제도권 자산의 온체인화가 진행되면서 글로벌 자본 시장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 ‘ONCHAIN SYMPOSIUM 2025’는 기관투자자들이 이 전환기를 직접 경험하고,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최적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행사 등록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가능하며, 일부 세션은 영어와 한국어 동시통역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