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관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채굴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매입하고 있다는 보고가 제기되면서, 비트코인 수급 구조의 결정적 변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반에크(VanEck)의 조사에 따르면, 2025년까지 기업들이 매입한 비트코인 수량은 총 63만 8,617개에 달하여, 이는 2024년에 비해 무려 5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이러한 변화는 최근까지 채굴자들이 공급하던 물량이 기업의 재무부서와 상장지수펀드(ETF)에 의해 대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4년과 2025년 사이에 피델리티와 블랙록과 같은 대형 자산운용사가 출시한 ETF는 각각 30만 66개와 38만 1,037개의 비트코인을 흡수했다. 결과적으로 최근 2년 동안 기관의 수요는 총 100만 코인에 달하며, 이는 현재의 공급 속도를 압도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비트코인이 향후 가격 상승의 강한 압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특히 기업과 ETF들이 비트코인을 안전자산으로 간주한다는 점이 시장의 지형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비트코인 채굴자들의 공급 속도는 과거에 비해 현저히 느려지고 있으며, 연간 신규 발행되는 코인의 수량은 약 16만 6,000개에 불과하다. 특히 2028년에서 2032년 사이의 반감기 동안 추가 채굴될 수 있는 비트코인은 총 33만 개에 불과할 것으로 보인다. 반에크는 이러한 통계를 인용하며, 추가 33만 개를 채굴하는 데는 100년 이상 걸릴 수 있다고 경고함으로써 비트코인의 희소성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급 불균형은 비트코인의 미래 가격에 대한 강한 상승 압력을 유도할 수 있다. 공급 곡선이 완만해지며 반응하는 동안, 수요 곡선은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어 시간에 따른 가치 상승은 더욱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환경 속에서 채굴자의 역할이 약화되며 가격 형성의 주도권이 점차 기관 투자자로 이동하고 있는 상황을 ‘보이지 않는 ETF 공급 위기’로 부르며, 향후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할 새로운 경로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급격한 가격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비트코인 시장에 대한 이러한 큰 변화는 기관 투자자들이 관여함에 따라 갈수록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시장의 유동성과 가격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비트코인의 공급과 수요 간의 균형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