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기관이 보유한 비트코인의 총량은 405만 BTC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트코인트레저리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30일 동안 기관 비트코인 보유량은 4.48% 증가했으며, 비트코인을 보유한 기관의 수는 5곳이 늘어나 총 353곳으로 증가했다.
기관 보유 비트코인은 다양한 주체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주요 보유 주체는 상장 기업, 정부, 사기업, ETF 및 기타 펀드, 거래소 및 커스터디, 그리고 디파이 및 스마트컨트랙트 등으로 구분된다. 상장 기업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105만4428 BTC로, 전체 비트코인 보유량의 5.021%를 차지한다.
상장 기업 중에서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는 64만808 BTC를 보유하며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업은 지난달 13일 219 BTC, 20일 168 BTC, 27일 390 BTC를 추가로 매입하여 보유량을 증가시켰다. 비트코인 보유량이 많은 기업들 중에는 마라 홀딩스(MARA), XXI(CEP), 메타플래닛(MTPLF)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현재 5개 상장 기업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비트플래닛(049470)은 지난달 27일 92.67 BTC를 매입하면서 신규로 합류하였다. 이후, 비트플래닛은 4일 간 매일 9 BTC를 추가 매입하여 현재 99위에 자리하고 있다. 나머지 4개 기업은 보유량이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다.
정부 부문에서는 총 64만4331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695억5600만 달러에 해당된다. 주요 국가 중에서는 미국이 32만6588 BTC, 중국이 19만 BTC, 영국이 6만1245 BTC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다른 많은 국가들이 비트코인을 점차적으로 확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사기업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27만9185 BTC로, 특히 블록원은 16만4000 BTC를 보유하고 있다. 이외에 테더 홀딩스와 스페이스X도 각각 상당한 양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ETF와 거래소 부문에서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는 80만4944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비트코인 공급량의 약 3.833%에 달한다. 이러한 비트코인의 점진적인 증가 움직임은 기관과 정부가 비트코인을 장기적인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시장의 안정성과 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적으로, 이번 데이터는 다양한 기관과 기업들이 비트코인을 축적하는 추세를 보여주며, 이는 비트코인의 제도권 완입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현재의 비트코인 보유 전략은 앞으로의 금융시장에서도 중요한 키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