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회의 후 사퇴 의사를 밝힌 최상목 경제 부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가능성 대두

[email protected]





최상목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지난 3일, 비상계엄 선포 후 개최된 국무회의에서 강하게 반대 의사를 표명하며 회의장을 떠났던 사실이 확인됐다. 이번 결정은 그가 세 번째 대통령 탄핵 정국을 맞이한 가운데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최 부총리는 자진 사퇴를 의사 표시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최 부총리는 한창경제 상황이 긴급히 돌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불확실성을 증폭시키는 비상계엄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경제 금융 관계자들과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회의인 F4 회의를 소집했고, 여기서도 경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무제한 유동성 공급 방안들을 신속히 논의했다. 특히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부총리가 사퇴를 결심할 경우 심리 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며 최 부총리의 잔류를 강하게 요청했다고 전해진다.

최 부총리는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 당시 증권제도과장으로, 그리고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시에는 1차관으로 있었던 경험이 있다. 그는 농협대학교 총장을 거쳐 현재의 직책에 오른 상태로, 이전 정부에서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국정농단 사건에 연루되어 상당한 비난을 받기도 했던 그는 미르재단 설립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 “윗선의 지시로 진행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이처럼 복잡한 정치적 환경 속에서, 최상목 부총리는 만약 한덕수 총리가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국무위원 서열에 따라 대통령 권한대행 및 총리 권한대행 역할을 맡게 된다. 이로 인해 그의 정치적 입지가 급부상하게 될 가능성이 커졌다. 지금은 한국 정치가 매우 민감한 시기를 겪고 있어, 최 부총리의 결정은 향후 정치적 역학관계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의 강한 반대 의사 표명과 긴급 경제 금융 대응 회의는 한국 경제에 긴박한 상황임을 알리는 신호로 비춰진다. 경제 불안정성이 커지는 가운데, 최 부총리와 다른 주요 경제 금융 인사들은 시장의 혼란을 잠재우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는 상황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