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중국 방문…”중국의 전략적 딜레마와 북·중·러 결속 우려”

[email protected]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6년 만에 중국을 방문하면서, 북·중·러 간의 결속에 대한 우려와 중국이 직면한 전략적 딜레마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홍콩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김 위원장이 참석할 80주년 전승절 열병식에서 북·중·러 정상이 나란히 모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소개했다.

스인훙 중국 인민대 교수는 이번 김정은의 방중이 북한의 군사 동맹 및 우크라이나 전쟁 참전으로 인해 중국이 직면한 도전 과제를 일부 무시하거나 일시적으로 용인했음을 나타낸다고 평가했다. 그는 “중국과 북한, 러시아 간의 관계는 선호가 아닌 필요에 의한 것”이라며, 미국을 전략적 위협으로 평가한 중국이 북러와의 협력을 필수적인 구조로 받아들이게 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아이디를 밝히지 않은 한 중국 전문가는 중국이 북러 간의 영향력을 제한받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설명하며, “중국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이 다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이들과의 협력 관계를 포기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극동연방대의 아르티옴 루킨 교수는 김 위원장의 방중이 북한과 중국 사이의 일시적 마찰이 해소되는 신호로 해석되며, 북한이 러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가운데에서 여전히 ‘경제적 생명줄’인 중국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방문이 북한이 다시 중국의 영향권 아래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반면, 북한, 중국, 러시아 간의 결속은 미국의 외교 정책에 복잡성을 더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었다. 경희대의 추재우 교수는 “북·중·러 정상회담이 처음으로 열릴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러한 회담이 실제 정책 변화 없이도 미국의 전략적 셈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중·러가 향후 미국 관련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성현 조지 H.W. 부시 미·중 관계 재단의 선임 연구원은 이번 열병식이 신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공식적인 장면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중국이 북러 군사 협력을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하게 됨에 따라 지역적 불안정성을 가져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한 이로 인해 북한 문제와 관련된 국제 사회의 비난이 중국이 아닌 러시아로 향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처럼 김정은의 중국 방문은 단순한 외교 행사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국제정세와 향후 미국과의 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