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중국은 항상 세계 평화를 이끄는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인간은 같은 지구에서 조화롭게 살아야 하며, 정글의 법칙으로 돌아가서는 안 된다. 우리는 평화적 발전을 지속하고 세계 평화와 안정을 굳건히 지켜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리셉션에서는 김 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시 주석과 나란히 입장했으며, 이는 북·중·러 최고 지도자가 공식 석상에 함께 자리한 것이 66년 만의 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이번 리셉션은 세계 26개국 정상들과의 오찬이 함께 진행되었고, 김정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도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시 주석은 중간에 자리한 가운데,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각각 좌우에 서며의 모습은 더욱 의미 깊은 상징성을 지닌다. 이날 오전 두 정상은 베이징의 톈안먼에서 열린 전승절 열병식에도 참석하였다. 시진핑 주석이 중간에 서고, 두 명의 정상, 즉 김정은과 푸틴이 양옆에 서 있는 모습은 역사적인 의미가 깊은 장면이었다.
이번 행사에서 시 주석은 “우리는 반드시 인류 운명공동체 건설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며 다자협력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이러한 발언은 국제 사회에서의 중국의 역할을 강조하는 동시에, 향후 대외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신냉전 시대에 들어서면서 북·중·러의 관계는 더욱 밀접해지고 있으며, 이들의 연대는 글로벌 정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시 주석의 발언과 김정은의 참석은 국제 평화와 안정을 위한 중요한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삼국 간의 정치적 및 경제적 결속력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리셉션은 단순한 축제의 일환이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정치적 역학 관계를 재구성하는 중요한 대화의 장으로 자리잡고 있다. 김정은과 푸틴의 연대는 서방 국가들, 특히 미국에 대한 저항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제 사회는 이러한 움직임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