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의 효용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유럽 국가들은 드론 중심의 군사 전략과 기존 재래식 병력의 확충 사이에서 심각한 고민에 빠져 있다. 군사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2030년까지 재래식 전력을 거의 회복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으며 유럽이 긴급히 대응해야 한다고 경고한다. 이에 따라 드론과 재래식 전력 간의 양자택일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중 드론은 막대한 효과를 발휘하며 러시아군의 전력을 약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드론에 대한 의존이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드론이 탄도 미사일과 기존 재래식 무기의 보조 역할로서 효율적이지만, 단독으로 전투 결과를 좌우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우크라이나는 여전히 전체 영토의 20%를 러시아에 잠식당한 채로 전쟁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 사실은 드론만으로 전쟁을 이길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유럽과 러시아 간의 군사 생산력 격차는 심각하다. 현재 유럽은 연간 100만 발의 포탄을 생산하지만, 이는 한국의 연간 80만 발보다도 적은 수치로 러시아의 연간 400만 발과 큰 차이가 난다. 탱크 생산 측면에서도 유럽은 독일의 라인메탈사가 연간 50대 수준을 생산하는 반면, 러시아는 1,500대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되어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드론 분야에서조차 러시아는 연간 6만 대를 생산하는 반면, 유럽 전체의 생산량은 1천 대도 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에게도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투 개입으로 인해 한국은 드론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하는 압박을 느끼고 있다. 한국군 또한 인구 감소 등의 부족으로 인해 드론을 포함한 무인화 시스템의 의존도를 높여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반도는 대부분 산악 지형으로 드론의 활용이 제한될 수 있어, 전문가들은 단순히 드론에 모든 자원을 집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경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드론이나 재래식 전력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합적인 방위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전문가들은 각국이 자국의 지형적, 전략적 특수성을 반영한 맞춤형 방위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군인의 역할 또한 중요한 만큼, 인력 재배치와 군인의 복지 개선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일 것이다. 앞으로 드론과 재래식 전력 간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할지가 군사 전략의 데이타 기반 분석과 전략적 선택의 핵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