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냉동실에 보관할 수 없는 식품들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경고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남은 음식이나 식재료를 냉동고에 넣어 오랫동안 보관하지만, 일부 식품은 냉동 과정에서 품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영국의 소비자 전문 매체 ‘Which?’의 분석에 따르면, 특히 튀김류, 삶은 달걀, 고수분 채소, 요거트, 부드러운 치즈, 생크림 등이 대표적인 ‘냉동 금지 식품’으로 손꼽힌다. 이러한 식품들은 냉동 후 해동하는 과정에서 맛과 질감, 그리고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정에서 준비한 튀김은 냉동 후 해동하게 되면, 기름과 수분이 분리되어 바삭한 식감이 사라진다. 이는 상업적으로 제조된 냉동 제품과 달리, 특수한 코팅 처리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삶은 달걀 역시 냉동할 경우 단백질 변성이 발생하여, 흰자가 고무 같은 질감으로 변하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달걀을 꼭 소량만 활용하고 신선하게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오이와 상추와 같은 수분 함량이 90%에 이르는 채소는 냉동 과정을 거치면서 세포 구조가 파괴되어 해동 후 질감이 흐물흐물해진다. 이러한 채소들은 샐러드보다는 볶음 요리나 수프 등 가열 조리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요거트와 생크림은 냉동에 특히 취약하여 해동할 경우 유지방과 수분이 분리되면서 기존의 크리미한 질감을 잃는다. 비슷하게, 부드러운 치즈인 브리나 크림치즈도 냉동 후 질감이 푸석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반면 체다나 파르미지아노와 같은 단단한 치즈는 비교적 안전하게 냉동이 가능하다.
안전하게 냉동과 해동을 하려면 유통기한 내에 냉동 보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해동 시에는 냉장고에서 서서히 녹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 라벨에 냉동 보관 가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빵, 고기, 단단한 치즈, 우유, 버섯, 밥 등은 비교적 안전하게 냉동이 가능하지만, 유통기한이 지나기 전에 냉동해야 한다. 고위험 식품인 우유나 닭고기의 경우에는 냉장고에서 천천히 해동하는 것이 최선이다.
냉동실은 현대 가정에서 매우 유용하며 필수적인 기능을 제공하지만, 냉동에 적합하지 않은 식품들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하고 맛있는 식사를 위해서는 바른 보관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