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최대 IT 기업 네이버의 금융 계열사 네이버파이낸셜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와의 합병을 발표했다. 이 합병은 총 20조 원 규모의 ‘초대형 핀테크’ 플랫폼이 탄생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주었으나, 정작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 11월 27일 유가증권시장에서 네이버의 주가는 1만2천 원(4.55%) 내린 25만1천500원에 마감하며, 장중 한때 25만500원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투자자들은 차익 실현과 기대감의 감소로 인해 ‘셀온’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날 업비트에서 발생한 445억 원 규모의 해킹 사고 뉴스가 더해지면서 투자 심리가 더욱 위축됐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최근 이사회를 열어 주식 교환 방식의 합병을 결정하였고, 두나무 1주당 네이버파이낸셜 2.54주로 교환 비율을 정했다. 이로 인해 두 회사의 기업가치는 각각 5조 원과 15조 원으로, 합병 후 총 20조 원 규모의 메가 핀테크 플랫폼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많은 전문가들은 가상자산 기반의 기술력과 기존의 플랫폼 및 결제 인프라가 결합함으로써 금융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증권 시장에서는 이번 합병이 네이버의 수익 구조 다변화와 새로운 성장 동력 추가의 계기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NH투자증권의 예측에 따르면, 네이버는 네이버파이낸셜의 주요 의결권을 확보하여 연결종속법인 구조를 유지함으로써, 2027년 이후에는 영업이익이 4조 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스테이블 코인과 같은 미래의 가상자산 시장에서 두 회사가 함께 시너지를 창출할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합병에 따른 불확실성도 존재한다. 업계에서는 네이버파이낸셜의 해외 상장 여부에 대한 추측이 제기되고 있으나, 네이버 측은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또한, 두 회사의 기존 주주들이 오는 5월에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만약 청구 금액이 일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 합병 계약이 재조정되거나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같은 합병 흐름은 향후 디지털 금융 산업 내 경쟁 구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복합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따라서, 투자자 신뢰 회복과 사이버 보안 강화, 그리고 구체적인 성장 전략의 제시가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와 두나무의 합병이 가져올 변화는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지만, 앞으로의 시장 반응과 기업의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