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두나무 인수로 AI 및 가상자산 결합한 핀테크 생태계 구축

[email protected]



네이버가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두나무를 인수하게 되면서, 플랫폼과 가상자산 사업을 동시에 운영하는 글로벌 핀테크 기업으로 새롭게 거듭나게 되었다. 이번 인수는 네이버의 디지털 금융 시장 진출과 인공지능 기반 비즈니스의 확장을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해석된다.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의 금융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포괄적 주식 교환안을 승인했다. 이 과정에서 두나무의 1주당 네이버파이낸셜의 2.54주로 교환하는 비율이 설정되었고, 결과적으로 두나무는 네이버파이낸셜의 자회사이자 네이버의 손자회사로 승격되었다. 두 회사의 통합 기업 가치는 약 20조 원에 달하며, 이는 초대형 디지털 금융 플랫폼의 출현을 의미한다.

이번 결합은 또한 네이버가 전통적인 광고와 커머스를 넘어, 가상자산 및 금융업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찾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이해진 이사회 의장이 복귀한 이후, AI와 글로벌 확장에 관한 비전이 구체화되면서 두나무와의 협력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물론, AI 기반의 디지털 금융 서비스 창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 관련 사업 역시 구체화되고 있다. 두나무의 블록체인 플랫폼인 ‘기와체인’을 활용하여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이를 네이버페이 결제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금융계에서는 네이버가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시작으로 예치금 운용 및 담보 대출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로 영역을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AI와의 통합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다. 네이버는 생성형 AI 기술을 통해 스스로 결제와 정산을 수행할 수 있는 ‘온체인 에이전트’ 서비스를 연구하고 있으며, 두나무의 블록체인 기술이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는 기반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일본의 라쿠텐처럼 네이버도 가상자산을 기반으로 한 종합 핀테크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금융과 산업을 분리하는 ‘금산분리’ 원칙이나 가상자산 업계의 불확실한 법적 환경은 여전히 리스크로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계에서는 이번 네이버와 두나무의 결합이 전통적인 금융기업 간 인수합병이 아니라 ICT 기업 간의 M&A인 만큼, 규제 적용이 어렵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이와 같은 흐름은 네이버가 커머스와 콘텐츠를 넘어 금융과 기술을 아우르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향후 국내 디지털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글로벌 핀테크 생태계의 재편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