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에서 정부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차단 정책과 부패에 대한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면서 유혈 사태가 발생했다. 현재까지 20명 이상이 사망하고 500명이 넘는 부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네팔 정부는 SNS 접속을 재개했음에도 시민들의 분노는 가라앉지 않고 있다. 9일(현지시간) 외신 보도에 따르면, 이번 시위의 배경에는 권위주의적 통제에 대한 심각한 불신과 청년층의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려는 정부의 조치가 있다.
네팔 정부는 지난 5일부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엑스(옛 트위터) 등의 SNS를 차단하였고, 이는 새로운 등록 요건을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행되었다. 이 같은 조치는 젊은 층의 거센 반발을 유발하였으며, 정부의 여론 통제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자 반정부 시위가 대규모로 벌어졌다. 이들은 거리로 나와 “SNS를 멈추지 말고 부패를 멈춰라”는 구호를 외치며 정부의 부패 척결과 언론의 자유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시위는 급격히 고조되었고, 경찰이 강경 진압에 나선 결과, 최루탄과 물대포가 사용되었다. 일부 시위대는 경찰의 바리케이드를 넘어 의회에 진입하려 했고, 대법원 및 검찰청에서 불을 지르는 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가운데 경찰의 실탄 발포 주장과 함께 시위는 유혈 사태로 악화되어갔다. 외신에 의하면, 이 과정에서 전직 총리 부인이 중화상을 입고 사망하는 등의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네팔 정부는 샤르마 올리 총리가 사임하고 SNS 차단 조치를 해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위대의 결의는 꺾이지 않았다. 과거 수십 년 간의 유혈 사태를 겪은 네팔에서, SNS 차단 해제 후에도 젊은 세대의 분노는 카트만두를 넘어 다른 도시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고위층 자녀들이 사치품을 과시하는 모습과 생활고에 시달리는 이들의 영상이 SNS에서 공유되면서 더욱 촉발되고 있다.
결국, 이번 사태는 고용 시장과 경제 성장 문제로 실망하는 젊은 층의 적극적인 시위 참여로 이어졌으며, 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는 정부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네팔의 상황은 단순히 SNS 차단 문제가 아닌, 표현의 자유, 부패 척결, 그리고 경제 성장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