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Z세대, SNS 차단에 분노하며 대규모 반정부 시위 촉발

[email protected]



네팔에서 정부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차단 조치에 대한 청년들의 반발이 격화되며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했다. 9일(현지시간) 수도 카트만두에서는 시위대가 정부청사인 싱하 더르바르에 불을 지르며 샤르마 올리 총리의 사임 발표와 SNS 차단 해제를 요구했다. 정부의 강경 진압에 따라 시위의 사상자가 속출하고 있어 상황이 심각하다.

이번 시위는 5일 정부가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등록되지 않은 26개 SNS의 접속을 차단한 것에서 비롯됐다. 많은 청년들은 이를 정치적 검열로 간주하며 불만을 표출했고, 이후 시위가 급속도로 확산됐다. 초기에는 평화로운 형태로 진행되었으나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인해 과격한 양상으로 변질되었다. 이는 네팔의 정치적 혼란과 경제난이 겹쳐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사망자가 19명에 달하는 유혈 사태가 발생하며 올리 총리는 결국 사임을 발표했다. 네팔은 2008년 왕정이 붕괴된 이후, 총리의 교체가 13회에 달할 만큼 정치적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자연재해와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며 국민들의 불만이 폭발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네팔의 15~24세 청년층 실업률은 20%를 넘으며, 1인당 GDP는 1,447달러로 남아시아 국가들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은 청년 세대가 정부에 대한 불만을 가지게 된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주 노동자들이 보내는 송금액이 GDP의 25%를 넘을 정도로 상황이 심각하다.

정치적 혼란 외에도 자연재해와 같은 외부 요인도 큰 영향을 미쳤다. 2015년 대지진으로 인한 피해가 아직 회복되지 않았으며, 최근에도 지진이 발생해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했다. 이러한 재난의 대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청년들은 더욱 절망감에 빠지고 있다.

네팔의 정치적 상황은 연일 악화되고 있으며, 갸넨드라 샤 전 국왕 등 왕당파 인사들의 움직임도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청년들이 주도하는 반정부 시위는 단순한 SNS 차단에 대한 반발을 넘어, 경제적 및 사회적 불만으로 확대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