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증권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넷마블의 목표주가를 6만8000원에서 5만2000원으로 하향 조정하며, 올해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성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난해 넷마블의 게임들에서 매출 감소가 발생한 만큼, 올해 출시 예정인 MMORPG의 성공 여부가 회사의 향후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나증권은 넷마블의 올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한 약 2조599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영업이익 또한 5.4% 감소한 2040억원 수준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에는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라는 게임이 큰 성과를 올리며 턴어라운드에 성공했으나, 그 후에 빠르게 안정화 현상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예상되는 주요 타이틀 중 하나인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은 올해 4분기에 출시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넷마블이 실적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넷마블의 게임들 가운데 외부 지식재산권(IP)을 도입한 게임의 제품수명주기(PLC)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 오리지널 IP의 성공 여부 또한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좌우할 주요 요인으로 언급되고 있다.
올해는 ‘RF 온라인 넥스트’, ‘프로젝트 SOL’, ‘The Red: 피의 계승자’라는 세 가지 MMORPG가 예정되어 있으나, 이들 게임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가 발생해야 전년 대비 매출 증가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추가로, 상반기에는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와 ‘세븐나이츠 리버스’가 출시될 예정이며, 하반기에는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의 콘솔 버전이 출시될 계획이다.
이러한 플랫폼 확장은 긍정적인 방향성이지만, 비즈니스 모델의 하향 조정이 필요하다는 예상이 있어 실적에 대한 기여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나오고 있다. 마지막으로 오픈월드 서브컬처 게임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의 차별화가 절실하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하나증권의 이준호 연구원은 “중국 게임사들이 다양한 오픈월드 게임을 개발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과 다른 접근 방식만이 게이머들의 시간을 확보하고 매출로 연결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