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물리학상, 양자역학의 새로운 장을 연 클라크, 드보레, 마티니스 3인 수상

[email protected]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전자 회로에서 양자역학적 터널링과 에너지 준위 양자화를 실험적으로 입증한 존 클라크(83), 미셸 H. 드보레(72), 존 M. 마티니스(67) 세 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한림원 노벨위원회는 이들의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7일(현지시간) 수상자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존 클라크 교수는 영국 케임브리지 출신으로 현재 미국 UC버클리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셸 H. 드보레 교수는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나 예일대학교와 UC산타바버라에서 교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존 M. 마티니스 교수는 UC 산타바버라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1984년과 1985년에 초전도체를 이용한 전자 회로, 즉 조지프슨 접합을 활용하여 거시적 크기의 시스템에서도 양자역학적 특성이 나타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올레 에릭손 노벨물리학상위원회 위원장은 “100년이 넘는 양자역학이 여전히 새로운 발견을 선사하는 것을 기념하게 되어 기쁘다”며, “양자역학은 현대 디지털 기술의 근본적인 기초이며, 이들의 발견은 양자컴퓨터, 양자암호, 양자센서 등 다음 세대 양자기술의 발전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향후 기술 혁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 노벨 물리학상의 총 상금은 약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 4000만 원)로, 수상자 3명이 균등하게 나누어 가질 예정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양자역학의 실용화를 가속화하고 고급 양자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중요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자역학은 최근 몇 년간 기술 발전과 함께 새로운 국면을迎,而 이러한 발견들이 시스템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이는 쪽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클라크, 드보레, 마티니스의 연구가 실용적인 기술적 성과와 연결되어 나타나는 변화는 전 세계 과학계와 기술 산업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과거의 연구가 오늘날의 고급 기술로 이어질 수 있는 길을 개척한 주역들로 평가받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