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 매각 관련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일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농협의 홈플러스 인수에 대한 정치권의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인수 검토에 대해 내부적으로 언급한 적이 없음을 분명히했지만, 정치권은 인수 검토를 공익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요구하며 사실상 압박하고 있다.
지난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어기구 위원장은 강 회장에게 홈플러스 인수와 관련된 질의를 하며 “소상공인과 협력업체가 청산 단계에 들어가면 30만명이 길바닥에 나앉을 판”이라며 농협이 인수를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강 회장은 “무슨 말씀인지 잘 알겠습니다”라고 응답하며 상황을 깊이 고민하겠다는 의사를 전했다.
정치권에서 농협에게 공개적으로 홈플러스 인수 검토를 주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는 최근 홈플러스 사태의 중대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특히 매각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일이 가까워지면서, MBK 파트너스의 책임론에서 농협의 역할론으로 초점이 옮겨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회생계획안 제출 마감일이 11월 10일로 설정되어 있지만, 10월말까지 인수자가 존재해야 회생계획안의 제출이 가능하다. 현재 홈플러스의 월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3% 감소한 5232억원으로 위기에 직면해 있다.
또한, 다가오는 지방선거 일정도 정치권의 압박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 투자은행 관계자는 “홈플러스가 비수도권 지역에서 중요한 상권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청산 단계에 들어가는 경우 정치적 책임이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치권은 현 상황을 고려하여 국민연금이 MBK로부터 회수해야 할 약 9000억원의 투자금 회수 방안 마련도 요구하고 있다.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김태현은 투자금 회수 여부에 대해 “불확실한 상태”라고 언급하며 회수 방안에 대한 불안감을 표시했다.
MBK파트너스는 2015년에 홈플러스를 인수했으며, 이 당시 국민연금은 6121억원을 투자했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앞으로의 상황과 정치적 영향력은 더욱더 중대한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