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시장 선거에서 조런 맘다니가 예상치 못한 승리를 거두면서 정치적 여파가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지역 기반 암호화폐인 뉴욕코인(NYC)는 실질적인 펀더멘털 없이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빠르게 주목받으며 가격이 급등했다.
이번 선거는 조런 맘다니, 앤드류 쿠오모, 커티스 슬리 세 후보 간의 치열한 대결 속에서 펼쳐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친(親) 암호화폐 후보로 지지한 쿠오모와의 경쟁에 승리한 맘다니의 결과가 발표되자마자, 뉴욕과 연관된 지역 기반 암호화폐들이 급부상했다. 그 중에서도 뉴욕코인은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며 대표적인 사례로 떠올랐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샌티먼트에 따르면, 맘다니 승리를 언급한 최근 SNS 게시물들은 예측시장, 정치 성향, 뉴욕시의 상징성과 관련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실제 온체인 데이터나 거래량보다도 선거라는 정치적 이벤트가 촉발한 대중적 관심이 가격 상승의 주된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맘다니는 암호화폐에 대해 공격적으로 발언해온 인물은 아니지만, 2023년 5월에는 소비자 보호를 위한 암호화폐 규제 법안을 공개 지지한 바 있다. 그는 “암호화폐 기업이 무너질 경우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것은 소득이 낮은 지역 커뮤니티의 소액 투자자들”이라고 밝히며, 쿠오모와 그의 거래소 OKX와의 논란을 비판하기도 했다.
반면, 주요 암호화폐들은 보다 본질적인 경제적 요인들로 인해 주목받고 있다. 비트코인(BTC)는 레딧과 텔레그램 등 커뮤니티에서 장기 투자 전략, 가격 주기, 고래 투자자들의 방침과 같은 전통적인 관심사에 속해 있으며 여전히 주요한 화제에 오르고 있다.
이더리움(ETH) 역시 최근 2억 1,900만 달러 규모의 ETF 자금 유출이 있었지만 시장에서는 가격 변동성과 포트폴리오 구성을 둘러싼 논의가 활발하다. 기관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비트코인과의 비교 분석이 ETH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주목받는 다른 암호화폐로는 리플(RLUSD), 솔라나(SOL), 체인링크(LINK) 등이 있다. RLUSD는 미국 달러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으로, 마스터카드 및 제미니 등과의 제휴를 통해 신용카드 결제 기능을 강화하며 발행 1년 만에 시가총액이 9억 달러에 육박하고 있다. 솔라나는 신규 프로젝트 유입 및 거래소 상장 증가와 관련된 이슈로 관심을 받고 있으며, 체인링크는 여러 기업 및 금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암호화폐가 정치 및 사회문화적 이슈와 더욱 밀접하게 연관됨에 따라, 기술적 요소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요인이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뉴욕코인의 사례는 향후 지방 정치와 암호화폐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