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7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앞두고 하락…다우지수 0.45% 감소

[email protected]



미국 뉴욕 증시의 주요 3대 지수가 11일(현지시간) 모두 하락세로 마감했다. 긍정적인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합의 소식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이번 주 발표될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한 경계감을 유지했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00.52포인트(0.45%) 하락한 4만3975.09로 거래를 마감했다. 또한,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6포인트(0.25%) 하락한 6373.45에 장을 닫았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64.62포인트(0.3%) 내린 2만1385.4에 거래됐다.

시장의 집중력을 끌고 있는 것은 12일 발표될 7월 CPI이다. 시장은 전년 대비 2.8%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 6월의 2.7% 오름폭보다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3.0%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6월의 2.9%보다 소폭 증가하는 수치다. 최근 증시가 랠리를 이어온 가운데 인플레이션 압력의 상승은 주가 상승세에 제약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

고용 둔화 조짐이 뚜렷해지면서, 투자자들은 이번 7월 CPI 발표에 따라 연내 금리 인하 폭을 예측할 것으로 보인다.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9월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을 86.5% 반영하고 있다. 0.5%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43.8%로 집계되며, 0.75%포인트 인하의 가능성은 42.8%에 달한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금리 인하 기대가 지나치게 높아 우려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벌 최고 투자 전략가는 “시장이 결국 실망하게 될까 봐 우려된다”며, 높은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되고 소비자들의 지출 의향이 계속 유지된다면 Fed가 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번 주에는 추가적으로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매판매 지표도 발표될 예정이다. 14일 발표될 PPI는 전월 대비 0.2% 상승하여 6월의 0%보다 오름폭이 클 것으로 보인다. 15일에는 7월 소매판매가 0.5%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6월의 0.6%에 비해 증가율은 다소 둔화될 전망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중국에 대해 부과한 115%의 관세 인하 조치를 90일 더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여 미·중 간의 관세 휴전이 연장되었다고 발표했다. 또, 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고 언급해 금값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자 했다.

최근 증시가 랠리 중에도 고평가 논란과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직면하면서 추가 상승 여력이 시험대에 오르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조사에 따르면, 지난 4월 저점 이후 뛰어난 성과를 보인 미국 주식이 고평가되었다고 보는 펀드 매니저 비율이 91%에 달해 2001년 이후 최고의 비율을 기록했다.

미 국채 금리는 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10년물 금리는 4.28%, 2년물 금리는 3.76%로 전 거래일과 동일한 수준이다. 종목별로는 반도체업체 엔비디아와 AMD가 각각 0.32%와 0.28% 하락했으며, 인텔은 3.66% 상승했다. 테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