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8월1일 상호관세 발효 앞두고 전반적인 하락세…MS, 장중 시가총액 4조 달러 돌파

[email protected]



미국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들이 7월 31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하며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8월 1일로 예정된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경기 둔화 우려로 심리가 위축된 모습이었다. 전날 대기업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 플랫폼의 실적 발표가 시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관세 발효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상승세를 반납하게 됐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30.3포인트(0.74%) 하락한 44,130.98로 장을 마감했으며, S&P500지수 역시 23.51포인트(0.37%) 내린 6,339.39로 마감했다. 가장 기술주에 집중된 나스닥지수는 7.23포인트(0.03%) 소폭 하락해 21,122.45로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들은 상호관세 발효를 하루 앞두고 긴장감이 고조된 상태다. 백악관 소식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7월 31일 오후 또는 저녁에 행정명령에 서명하여 8월 1일부터 새로운 상호관세를 발효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 상호관세의 발효를 두 차례 유예했지만 이제는 유예 조치가 종료되며, 한국을 포함한 미국과의 무역협정이 없는 국가에는 일방적으로 정한 관세가 부과된다. 이로 인해 인도는 25% 관세가 예고되어 있다.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도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미국 상무부는 6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가 전년 대비 2.6%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인 2.4%를 상회하는 수치이며, 변동성이 큰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도 2.8%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향후 관세 인상이 일부 상품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이러한 물가 지표 발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직후에 나와 더욱 주목받았다. 제롬 파월 의장은 가격에 대한 관세의 영향이 뚜렷해지고 있으며,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시장은 9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61%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일주일 전 39.2%에서 상승한 수치다. 벨웨더 웰스의 클라크 벨린 CIO는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수준임을 강조하며, 현재의 금리 동결이 타당하다고 평가했다.

고용 시장은 여전히 건전하게 유지되고 있다. 미 노동부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1만 8,000건으로 전달보다 소폭 증가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종목별로는 MS가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로 장중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그러나, 상승폭을 반납하면서 최종적으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기록하지 못했다. 메타 플랫폼은 전날의 호실적 덕분에 11.25% 상승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애플과 아마존은 각각 0.71%와 1.7% 하락세로 장을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앞으로의 금리 정책과 경제 지표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때다.

Leave a Comment